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 하얼빈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탄핵 당한 최초의 여성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임기 중에 이런 말을 해서 망신을 당한 적이 있다.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 감옥에서~” 아니다. 안중근 의사는 당시 러시아 영토였던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 그리고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점령하고 있던 차디찬 ‘뤼순’ 감옥에 계시다가 거기서 사형당하셨다. ‘하얼빈’이라는 영화가 제작 발표되었다. 고국의 평론가들은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이 영화를 비판하지 못하는 것 같다. 첫째, 이 영화를 비판했다가 ‘매국노’라든지 ‘친일파’라는 오명을 쓰게 될까 두려워하는 것 같다. 둘째, 이 영화는 CJ 엔터테인먼트라는 대기업이 제작했다. 대부분의 배우나 영화 평론가들은 직/간접적으로 이 회사와 관계가 있고, 자신들의 밥줄이 걸려 있으니 밉보이기 싫은 것 같다. 이 두 가지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나는 작정하고 비판을 좀 해보겠다. 나의 주관적인 의견이니 영화에 감동받으신 분들은 이 다음부터는 읽지 마시기 바란다. 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영상미에만 집중한 촬영이다. 대부분의 장면에서 출연 배우들은 어두운 긴 겨울 코트를 입고 정지된 자세로 서 있는 모습이 반복되었고, 카메라는 지나치게 멀리 떨어져 있어 배우들의 감정 표현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 이로 인해 관객은 배우들이 느끼는 긴장감이나 고뇌를 체감하기 어려웠다. 폭탄을 구하러 가는 장면에서도 현실감은 전혀 없었다. 배우들은 중간에 쉬는 동안 밥을 먹거나, 잠자리를 준비하는 현실적인 모습 대신, 마치 CF를 찍는 듯한 정지된 포즈로 저 멀리 풍경을 멋있게 응시한다. 영화의 대사들은 너무나 뻔한 표현들로 가득 차 있어 극의 몰입감을 크게 저하시켰다. 마치 초등학생이 쓴 듯 단순하고 유치한 대사들은 인물들의 깊이나 논리적인 극 전개를 전혀 느낄 수 없게 만들었으며, 역사적 배경의 무게감을 살리지 못했다. 기다리던 동지가 나타나자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더니”와 같은 뻔한 말을 한다. 기차에서 독립운동가들이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는, 인물들의 성격이나 극의 논리적인 흐름을 표현하는 데 써야 할 귀중한 시간을 “우리 같은 독립운동가들이야 뭐 어쩌겠소”와 같은 초등학생 수준의 단순한 대사로 낭비해 관객의 지루함을 배가시켰다. 스토리는 비논리적이고 상황에 맞지 않게 전개되었다. 가상의 인물들을 만들어 실존했던 다양한 독립운동가들을 표현하려 했으나, 비현실적인 내용과 구성은 재미와 리얼리티를 모두 놓치는 이야기 전개로 지루함만 더해주었다. 극중 시종일관 안중근과 사사건건 마찰을 빚었던 ‘이창섭’은 죽기 전에 갑자기 모리 소좌 앞에서 한국말로 안중근에 대해 거룩한 칭송을 한다. 아무런 논리적 설명도 없이 말이다. 고문으로 일제의 밀정 노릇을 하던 한 독립운동가는 마지막 장면에서 모리 소좌의 목에 칼을 꽂는다. 일본군 장교가 독립군 밀정을 외진 곳에서 몸수색도 하지 않고 혼자 만났을까? 실제 역사에서는 우덕순이 채가구역에서, 안중근은 하얼빈역에서 각각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려고 기다렸다. 하지만 채가구역에서는 러시아군 때문에 저격 시도조차 하지 못했고, 때문에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저격에 성공했다고 알려진다. 실제로는 우덕순 또는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는데, 영화에서 모리소좌는 처음부터 끝까지 안중근만 찾아다닌다. 또한 실제 역사는 이때 검거된 우덕순이 훗날 일제의 밀정으로 활동했다는 의혹도 제기한다. 영화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조국을 잃은 젊은이의 고뇌를 안중근 역의 현빈이 꽁꽁 얼어붙은 두만강을 몹시 괴로워하며 건너는 모습으로 표현한 장면 하나는 오래 기억될 것 같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 하얼빈 하얼빈 감옥 안중근 의사 영화 평론가들